개발을 하기에 앞서 개발 환경 구성이 중요한 것은 누구에게나 물어봐도 부족하지 않을 듯 싶어요.


Linux에서 gedit라던가 vi editor를 사용해도 되지만 낯설지 않는 경우가 있죠.


그래서 가장 익숙한 visual studio code라던가, atom이라는 editor를 많이 사용을 하죠.


이런 editor를 Linux 환경에서도 사용하고 싶은데.... 해당 프로그램이 깔려있는 건 내 컴퓨터고, GUI가 제공되는 Linux 환경이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은 환경이라면 상당히 코드 짜는데 빡침이 몰려올 수도 있을텐데요.


이런 것들을 위해서 vs code나 atom은 원격으로 Linux 환경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패키지가 있습니다.


그 중 이번에는 vs code를 이용해서 원격으로 개발을 수행하는 작업을 한 번 해보도록 하죠.


1. vs Code 설치

이건 너무나도 간단하니 pass

그냥 구글에 검색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ㅎㅎㅎㅎ


2. ftp-simple 설치하기

ftp-simple은 vs code의 패키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ftp-simple 설치 방법은 아래 이미지 파일을 참고하세용~


저 같은 경우는 이미 설치한 상태라서 ③번이 저렇게 나오는데 설치가 안되있다면 설치 버튼이 있습니다 ㅎㅎ



3. ftp-simple connection setting 파일 들어가기


f1을 눌러 명령창을 생성시키고 ftp-simple을 입력하여 Config-FTP connection setting을 클릭



저 같은 경우는 사용을 해서 "최근에 사용한 항목"란에 있지 처음 하시면 "기타 명령"란에 있을거에요.


4. FTP Setting 입력하기


아래와 같이 입력을 해주면 됩니다.

< >가 표시된 곳을 지우고 내용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
        "name": "<이름 입력>",
        "host": "<ip 주소 입력>",
        "port": 22,      
        "type": "sftp",
        "username": "<사용자 이름>",
        "password": "<사용자 비밀번호>",
        "path": "<접근할 path>",
        "autosave": true,
        "confirm": false
    }


예시


저 같은 경우는 위와 같이 입력했어요.

일반적으로 ftp 원격 접속 과정에서 root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linux단 내에서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root로 설정했다가 안된다고 뭐라하지 말아요.


그리고 password는 입력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autosave는 말그대로 자동저장이고, confirm은 저장할 때마다 저장할 건지 물어보는건데 상당히 거슬리므로 false로 입력해줍니다.


위의 예시는 VMware에서 접근을 위한 것이고,


만약 AWS server 같은 곳에서 접근을 하고 싶을 경우


privateKey 항목을 추가해주고, key path를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최종적으로 Config형식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
        "name""AWS Server",
        "host""11.22.333.444",
        "port"22,
        "type""sftp",
        "username""ubuntu",
        "path""/home/ubuntu/",
        "autosave"true,
        "confirm"false,
        "privateKey""C:\\TEST\\Key.pem"
    },    
    {
        "name""VMWARE Ubuntu_32bit_Local",
        "host""111.222.33.444",
        "port"22,
        "type""sftp",
        "username""ubuntu",
        "password""password",
        "path""/home",
        "autosave"true,
        "confirm"false
    }
]
cs

을 만족하면 됩니다.

5. ftp-simple 실행하기


















- 본 포스팅은 공부하면서 작성합니다 -


코딩을 하다보면 요청받은  문자열을 다른 것으로 치환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역슬래시를 지우거나, 역슬래시를 지우거나 역슬래시를 지우거나.........



$ str = str.replace(/\\"/ig,'"');     //    \" -> "

$ str = str.replace(/"\[/ig,'[');      //    "[ -> [   

$ str = str.replace(/]"/ig,']');        //    ]" -> ]

[option]

g : 발생할 모든 pattern에 대한 전역 검색
i : 대/소문자 구분 안함


예시를 3가지 들었습니다.  효과는 주석 처리한 부분과 동일하구요.


기본적으로 /     / 안에 원하는 것을 입력하게 되는데요.

문제는 큰따옴표, 대괄호 등등이 그냥 써서는 큰따옴표, 대괄호 그대로 인식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 문자들은 앞에 역슬래쉬를 한 번 더 작성하여 해당 문자로 인식시키면 됩니다.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개발을 하긴 해야 하는데...package.json은 뭐야??  (0) 2018.09.23

-본 포스팅은 개인적으로 공부하면서 작성하는 내용입니다-


Nodejs 관련된 개발을 진행하면서 가장 낯설었던 것은 바로 초기 설정입니다.


Nodejs의 각 모듈(C로 보자면 라이브러리같은 개념입니다.)들은 package.json 형식으로 관리가 됩니다.

따라서 nodejs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package.json을 만들어야합니다.



그렇다면 이 파일은 어떻게 만들까요?


바로 "npm"이라는 패지키 관리자를 사용합니다.

npm은 Linux의 "yum"이라던가 "apt-get"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놈입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을 하신다면 nodejs를 설치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npm도 같이 설치가 되고,

Linux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신다면 nodejs, npm을 따로 설치하거나,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설치하면 nodejs와 npm을 같이 설치하게 됩니다. 


nodejs, npm 한 번에 설치하는 명령어


$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8.x | sudo -E bash -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이렇게 설치를 마치게 되면 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해당 폴더 내에서 터미널을 한 번 켜보도록 하죠.

윈도우 10 기본 터미널인 powershell을 켜도 되고, Git Bash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해당 터미널을 실행시켜도 됩니다.


참고로 원하는 폴더에서 터미널을 실행시키고자 할 때는 "[shift]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 node -v

$ npm -v

nodejs와 npm이 잘 설치되어있다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버전을 각각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처음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접근을 해보도록 하죠.


$ npm init


명령어를 프로젝트를 생성할 폴더에서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라고 물어봅니다.

코드를 구현하는데 영향은 미치지 않으므로 아무렇게나 작성해도 무방합니다.

대신 작성을 하지 않게 되면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 warning이 뜨게 됩니다. 그게 상당히 거슬....ㅎ


무튼 저렇게 설정은 완료하고 나면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이 생깁니다.

안에 내용을 확인해보면... 뭐 별거 없습니다..ㅋㅋ



자 그럼 여기서 모듈을 설치해보겠습니다.


$ npm install http


http라는 아주 기본적인 모듈을 설치해보겠습니다. 아 물론 이 모듈은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nodejs를 설치할 때 global로 설치가 되어 사용할 수 있는 stdio.h 같은 놈이지만 지금은 테스트를 위해 한 번 local에도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설치를 하고 package.json 파일을 확인해보면



요롷게 dependencies라고 해서 버전과 함께 무언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package-lock.json 파일과 node_modules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package-lock.json파일 내부에는 dependencies에 대한 세세한 내용이 들어가있고, node_modules 폴더 내에는 모듈(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해도 되용)이 직접 설치가 됩니다.


만약 직접 확인해 보실 경우 http 폴더 안에 package.json 없을거에요. 아까 이야기했다시피 http는 global로  설치가 되어있기 때문에 별다른 것이 설치가 안되어있지만, 만약 global로 설치되있지 않은 모듈을 설치할 경우 .js를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들이 node-modules 폴더 안에 들어가게 됩니다.




자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고, .js 확장자의 파일을 만들어서 마음에 드는 에디터(atom, vscode, sublime 등등)를 이용하여 개발을 수행하면 됩니다.



<짧은 요약>


$ npm init

$ npm install [설치할 모듈명]



+a

$ npm remove [삭제할 모듈명]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replace 함수 사용하기  (0) 2018.09.23

해당 포스팅은 EC2의 Ubuntu 16.04 버전에서 수행하였습니다.

그리고 라즈베리파이 3에서도 설치 및 동작 확인을 완료하였습니다.


본인도 학생으로서 공부하면서 하고있다보니 미흡한 부분이 많아요...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우분투에 NodeJS를 설치하는 아주 간단한 작업을 한 번 수행해 볼 예정입니다.


설치하기 전에 NodeJS가 뭔지를 한 번 간단히 확인해 볼까요 ㅎㅎ



Node.js는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특히 서버 사이드)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작성 언어로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며 Non-blocking I/O와 단일 스레드 이벤트 루프를 통한 높은 처리 성능을 가지고 있다.


내장 HTTP 서버 라이브러리를 포함하고 있어 웹 서버에서 아파치 등의 별도의 소프트웨어 없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웹 서버의 동작에 있어 더 많은 통제를 가능케 한다.

출처 : 위키피디아

즉.... 자바스크립트를 서버 쪽에서 개발할 수 있게 만든건데, 단일 스레드 형식으로 하드웨어 비용 부담을 절감하면서도 비동기식 IO 처리로 인해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완소 언어이고 많이 사용하는 언어죠 ㅎㅎ


한번에 동시다발적인 요청을 처리할 때 좋은 언어입니다. 


대신 단일 스레드라 만약 어떠한 작업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일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즉, 해당 요청에 대한 응답이 무거운 기능을 돌리는 거라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요지가 엄청 높다는 뜻이죠 ㅎㅎ

(아 그리고 비동기식으로 코드를 구현하다 보니깐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고 하네요 ㅎㅎ)




출처 : Stack Overflow's developer survey for 2017


하지만 요즘 이렇게 많이 사용하는 언어..ㅎㅎ


Nodejs는 npm이라는 이름의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해요. Ubuntu의 apt-get과 같은 역할을 하고, 다양한 모듈들을 npm을 이용해서 아주! 쉽게! 다운로드 받고 사용할 수 있답니다! ( 개 꿀 )


그리고 하나 더 Nodejs를 이용하여 제대로 개발을 하기 위한 또 하나의 필수 아이템.

바로 express라는 프레임워크인데요.

프레임 워크란 네트워크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함에 있어서 개발을 조금 더 쉽게 해주는 프레임워크! 즉, 틀을 제공해주는 건데요.

express를 명령어를 통해 생성하기만 하면! 아주 쉽게 서버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일단 NodeJS 먼저 설치해볼께요.



명령어 단 3줄이면 됩니다. ㅎㅎㅎ



NodeJS & NPM 설치 및 설치 확인



$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8.x | sudo -E bash -


가장 먼저 어떤 버전을 설치할지를 결정해줍니다. 여기서는 8.x버전을 설치해줄 거에요. 만약 다른 버전을 설치하고 싶다면 저 숫자만 바꿔주면 됩니다.

오늘(2018.8.1) 기준으로 LTS(Long Term Support)는 8.11.3버전까지 나와있고 최신 버전은 10.7.0까지 나와있네요.

최신 중에서도 지원을 길~게 해주는 LTS 버전을 설치하는 게 낫겠죠?ㅎㅎ


$ sudo apt-get update


그 다음 update를 한 번 수행해줍니다.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그 후 nodejs를 apt-get 명령어를 통해 설치해주면 끗!

nodejs를 설치하게 되면 npm 역시 자동으로 설치해주니 당황하지 않습니다 ㅎㅎ



자 이제 nodejs가 제대로 설치가 되었는지 한 번 확인해보겠습니다.

$ node -v

$ npm -v



요로코롬 버전이 확인된다면 깔끔하게 깔린겁니다.


자. 이제 NodeJS를 설치했으니 개발에 앞서 가장 유명한! 프레임워크인 express 프레임워크를 한 번 설치해볼까요 ㅎㅎ


Express framework는 NodeJS와 관련된 것이므로 npm을 이용해 설치를 진행해볼 꺼에요 ㅎㅎ



Express Framework 설치하기


Express도 정말 설치가 느무느무 간단합니다..... 하.... 이렇게 간단해도 되는거니..ㅠㅜ


단 2줄이면 끗!



$ sudo npm install -g express 


npm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하여 express를 설치해주는데! global(어디서든 express를 사용하겠다!) 옵션을 두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 sudo npm install -g express-generator@4


이제 설치한 express를 자동으로 생성시켜주는 express-generator를 설치하는데 4.x버전을 설치합니다.



현재(2018.8.1) express 최신버전이 4.16.0버전이네요. ㅎㅎㅎ


express Framework 설치 끗!


설치를 완료했으니 간단히 사용법을 알아볼께요.



Express Framework 사용해보기

http://cinema4dr12.tistory.com/741의 글을 참고하였습니다 ㅎㅎ

Express Framework를 생성하게 되면 막 파일이랑 폴더가 생깁니다.


따라서 Express Framework를 만들고, 작업할 폴더를 하나 만든뒤 들어가줍니다.


$ sudo mkdir express_test

$ cd express_test



그 다음 express 생성!!

$ sudo express -e

하면 



위와 같이 파일들이 생성되고 안내 메세지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구조는 

이런 식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ㅎㅎ


가장 기본적으로 http 서버를 하나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app.js 파일을 열어 내용을 조금 추가해주면 됩니다.


저는 vs code의 ftp-simple이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을 열었습니다.

ftp-simple 사용 방법도 후에 업로드 진행할께요 ㅎㅎ


vi editor를 이용하여 app.js 파일을 열어 수정하셔도 무방합니다~


파일을 열어 내용 2가지를 추가해줍니다.

빨간색 네모친 부분이 추가해준 내용입니다.


// port setup

app.set('port', process.env.PORT || 3000);


//////////////////////////////////////////////////////

// ------- creates Server -------

module.exports = app;


var server = app.listen(app.get('port'), function() {

console.log('Express server listening on port ' + server.address().port);

});


첫번째는 몇 번 포트로 접근할지를 결정해주는 부분이고

두번째는 해당 포트에 서버를 개설하는 부분입니다.

저장!



그리고 package.json 파일을 약간 수정해줄겁니다.


이렇게 node ./bin/www로 되어있는 부분을 위와같이 수정해줍니다.


이제 거의 다 끝났습니다~


아까 sudo express -e 명령어를  친 폴더에서

$ sudo npm install

를 입력해줍니다.


해당 명령어는 package.json 파일에 입력되어있는 모듈들을 설치해주는 명령어입니다.

만약 추가적으로 module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였다면 위의 명령어를 꼭 실행시켜 주셔야겠죠? ㅎㅎ


자 이제 다 끝났습니다.

$ sudo npm start

을 입력해주면!


Express Server가 3000번 포트에서 동작하고 있다고 뜨네요.


그럼 이제 3000번 포트로 들어가볼까요.


아! 들어가기 전에 localhost라면 상관이 없지만 저같은 경우는 AWS 서버에다가 express 서버를 실행시켰기 때문에 해당 포트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방화벽을 해제해줘야 해요.


AWS같은 경우는 해당 인스턴스의 보안그룹으로 들어가 인바운드 -> 편집을 누르게 되면 인바운드 규칙 편집이라는 창이 뜹니다. 거기서 규칙 추가를 누르고 


유형 : 사용자 지정 TCP규칙

포트 번호 : 3000 (아까 우리가 설정한 포트 번호)

소스 : 위치 무관

설명 : 아무거나(대신 한글 입력 하면 오류나요 ㅎㅎ)



추가해주면 해당 포트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자 이제 웹브라우저(크롬, internet explorer 등등) 본인의 Public IP주소를 입력해주고 땡땡을 입력한 다음 3000(포트 번호를 입력해주면 


Express Framework로 만든 창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답니드아아앗

본인의 IP 주소:3000


만약 내 컴퓨터가 Ubuntu다! 또는 Virtual Box(or VMWare)에서 만들었다! 그러면 localhost:3000 치면 될거에요 ㅎㅎ


그리고 이렇게 접속을 하고 다시 리눅스 창으로 가보면 

이렇게 GET 요청이 들어왔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답니다. ㅎㅎㅎ

(favicon.ico get 요청은 404 error가 떳네요..하핳 무슨 일일까..ㅎ)



이렇게 NodeJS 설치부터 Express Framework를 이용한 아주 초기의 서버 개설까지 마쳤습니다!!!


개발을 어떻게 진행할지는.... 차차 프로젝트 진행해보면서 하나씩 해볼게요 ㅎㅎㅎ(저도 공부하고 있는 입장이라..ㅋ)














라즈베리파이에 코드를 짜서 실행시키고 싶은데...... 검은색은 바탕이요. 흰색은 글씨라.....

어떻게 하면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쉽게 개발 할 수 있을까?! 라고 많은 사람들이 고민했더랬죠.

그 덕분에 다양한 방법들이 있고 그 방법들을 한 번 소개해 보려고 해요.


한 번 개발을 위해 어떤 방법들이 있나 알아보죠


개발 방법들!!!


  1. WinSCP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이 친구는 설치 방법이 아주 간단하답니다. 사용법도 간단하고. 무엇보다!! Putty와 연동이 되서 접속하는 것도 개꿀 ㅋ
    근데 사실상 개발 목적이라기 보다는 리눅스와 윈도우 간의 파일 전송 목적이 큰 프로그램이라 코딩 목적에는 약간 벗어난 프로그램이죠 ㅎ
  2. Samba 서버 이용하기
    요 놈은 라즈베리파이에 삼바라는 서버를 개설해서 윈도우에서 폴더 공유 형태로 파일을 확인할 수 있는 놈입니다.
    따라서! 윈도우에 깔려있는 editor들(vs Code, Atom ....)을 이용하여 손쉽게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는 놈이죠.
  3. Visual Studio(vs) Code의 ftp-simple 이용하기
    vs Code를 사용해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요놈은 프로그래밍을 배울 때 보통 가장 먼저 사용하는 툴인 Visual Studio에서 경량화해서 나온 개발도구인데, 다양한 확장 도구들을 지원합니다. (C, C++, Java, JavaScript, Python 등등등)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를 통한 개발 관련 툴들도 지원을 해주고 있어 한 번쯤 사용해볼만한 개꿀템!


크게 위에 있는 3가지 방법을 하나씩 소개해볼까 합니다.


그렇다면 가장 먼저 WinSCP라는 프로그램을 활용해보죠.



WinSCP 설치하기


1. 해당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https://winscp.net/eng/download.php


2018.7.22 기준으로 5.13버전이 최신이네요. 전 상남자이므로 최신버전을 설치해줍니다.


2. 다운로드를 누르면 창이 바뀌고 2초후에 다운이 진행됩니다.


3. 실행파일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하면 끗~!



WinSCP 설정 및 실행하기



1. 설치한 WinSCP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처음 설치할 경우 새 사이트 하나만 있을거에요. ㅎㅎㅎ 당황하지 말고 계속 진행!


2. 도구 -> 가져오기 클릭!


3. PuTTY에서 설정한 "라즈베리파이_핫스팟" 클릭


4. 혹시 PuTTY에서 설정한게 없어 가져올 것이 없다면 새사이트르 누르고,
파일프로토콜, 호스트 이름, 포트 번호를 아래와 같이 설정한 후 저장을 눌러주면 됩니다 ㅎㅎ

PuTTY에서 가져올 것이 있다면 패쓰~


5. 로그인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창이 순서대로 나와요.


6. 라즈베리파이에 접속을 할 경우 defalut ID, password(pi, raspberry)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7. 오른쪽에 라즈베리파이 내의 파일 정보들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치된 WinSCP를 통하여 라즈베리파이 내의 파일들을 컴퓨터로 가져오거나,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손쉽게 라즈베리파이로 복사할 수 있습니다.


물론 Editor를 통해 편집도 가능하구요.

하지만 위에도 말했다시피 WinSCP는 데이터 송수신 목적이 강한 UI를 가지고 있습니다...ㅎㅎ


다음에는 Samba 서버를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  론


라즈베리파이를 살펴보면 랜 포트가 있고, USB 포트가 4개, HDMI 포트가 하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구매 모델에 따라 LCD가 달려있는 모델도 있고 다양한데 가격이고, 크기도 크고.... 


보통 이런거 하나 사서 개발을 진행하게 됩니다....ㅋㅋ


컴퓨터랑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유선랜으로 연결해서 개발하기, HDMI로 외부 모니터 연결하고, USB로 키보드 마우스 연결해서 개발하기 등등등)이 있지만 가장 베스트는 그냥 내 컴퓨터에서 직접 개발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하하하하하


그래서 WiFi만 있다면!(요즘 Wifi 안되는 곳이 없지 말입니다..ㅎㅎ) Wifi를 이용하여 개발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까합니다.




각설하고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한 번 확인해볼까요??


준비물

  1. 라즈베리 파이3 + 라즈비안이 설치된 microSD카드

  2. 전원 공급 장치

  3. microSD 카드를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카드 리더기

  4. Putty
    임베디드 프로그래밍에 빠져서는 안될 꼭 필요한 완소 프로그램이죠..ㅎㅎ SSH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기기에 접속하여 개발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랍니다.

    SSH란 ?
    Secure Shell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

+알파 xrdp
   Putty와 동일하게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 개발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인데 라즈베리 파이의 GUI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실제 개발할 때는 Putty를 사용하게 되지만 처음 개발하시는 분들은 GUI(Graphic UI, ex)Windows )에 익숙하실 것 같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Putty를 먼저 설치해보겠습니다.


Putty 설치하기


1. 홈페이지 접속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2. Windows Installer에서 32bit, 64bit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본인 컴퓨터에 맞춰 설치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3. msi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부터 약간 중요합니다.

이제 라즈베리 파이를 컴퓨터와 연결하려고 하는데..... 저한테 있는 것이라고는 라즈베리파이와 노트북 한 대 뿐.....

라즈베리 파이를 어떻게 컴퓨터와 연결을 시킬 것이냐!!!!!!!


아주 간단합니다 ㅎㅎㅎ

micro SD 카드에 파일 2개만 추가해줄 겁니다 ㅎㅎㅎ


아 그리고 원활한 개발 환경을 위해 저희는 요즘 컴퓨터에 다 들어있는 핫스팟 기능을 이용할 거에요 ㅎㅎ

핫스팟 설정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어요.


1. 주위 와이파이 환경이 어떻든 내 노트북은 항상 들고다니므로 라즈베리파이의 와이파이 설정을 바꿔줄 일이 없다.

2. 가끔 공유기 칩셋 특징에 따라 라즈베리파이와의 연결이 계속 끊기는 현상이 발생. 하지만 내 노트북은 성능이 좋으므로 라즈베리파이와의 연결이 끊길 일이 없다는 것!


그럼 먼저 노트북의 핫스팟 설정을 진행해볼께요


노트북(win10 기준) 핫스팟 설정하기


1. 윈도우 창에서 핫스팟이라고 검색을 해줍니다.





2. 모바일 핫스팟 창에 들어가서 편집 클릭


3. 네트워크 정보 편집에서 네트워크 이름, 암호, 대역을 설정합니다. (이름과 암호는 자신이 원하는 걸로~!)


4. 설정을 완료하고 핫스팟을 켜주면 핫스팟 설정 완료!






그렇다면 이제 라즈베리파이를 내 노트북 핫스팟에 연결해보도록 할께요


라즈베리파이를 내 핫스팟에 연결하기


1. 아래의 두 개의 파일을 다운받아줍니다.(바이러스 없어요 걱정 마세요..ㅎㅎ)

SSH

wpa_supplicant.conf


2. SSH 파일 내에는 아무 것도 안적혀있고, wpa_supplicant.conf 내에는 뭐가 적혀있어요. 해당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내용을 확인해보면?!


3. 위와 같은 내용이 뜨는데 여기서 위에서 설정한 Wifi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저장을 합니다.


4. 그리고 SSH 파일과 wpa_supplicant.conf 파일을 라즈비안을 설치한 microSD 카드 안에 붙여넣어 줍니다.


자,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가 되었습니다!!!!




Wifi 연결 확인하기


자 이제 microSD 카드를 컴퓨터와 제거한 다음 라즈베리파이에 꼽아주고 전원을 연결해줍니다.


라즈베리 파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와 다르게 전원을 공급해주면 알아서 부팅이 됩니다 ㅎㅎ 개꿀


그리고 아까 핫스팟 설정할 때 들어갔던 곳으로 들어가 기다리다 보면

짜자잔 이렇게 라즈베리파이가 내 컴퓨터의 핫스팟에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라즈베리 파이를 내 컴퓨터와 연결할 수 있는 모든 조건이 마련되었습니다.


여기서 라즈베리파이가 연결된 IP 주소를 잘 기억해두세요~ 위에서 설치한 Putty를 이용하여 라즈베리파이와 연결할 때 필요합니다.



Putty와 라즈베리파이 연결하기


1. Putty를 실행시켜줍니다.

session에 여러가지가 많이 보이는 건 제가 다 저장해놓은 거고 처음 실행시키면 Default Settings 밖에 없을거에요 ㅎㅎ


2. 각 창에 필요한 정보들을 기재하고 해당 정보를 저장해놓습니다!(그래야 나중에 편하게 들어가죠 ㅎㅎ)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Host Name!!!! 라즈베리파이가 연결된 IP 주소를 그대로 Host Name에 적어주면 됩니다.


3. 모든 정보를 다 저장했으면 오픈할 Session(라즈베리파이_핫스팟)을 선택하고 open 클릭!



4. 처음 연결 할 때 신뢰할수 없는 host라고 뜰텐데 신경쓰지 않고 예를 눌러줍니다. ㅎㅎㅎ


5. 웬 까만 창이 뜨면 처음에 id와 비밀번호를 쳐야합니다. 라즈베리파이의 초기 id는 pi 비밀번호는 raspberry입니다.

linux 기반 os들은 비밀번호를 칠때 비밀번호 표시가 안됩니다. 안쳐진다고 당황하지 마시고 그냥 비밀번호 치고 엔터 누르시면 됩니다 ㅎㅎ


자, 이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이 모두 완료되었습니다!!!!! 와~~ 짝짝짝


연결이 되었으니 가장 기본적인 설정을 해주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root 비밀번호 설정하기


Linux 기반의 OS는 multi-user 개념이 도입되어있습니다.

multi-user란 한마디로 다양한 사용자가 한 pc에 접속하여 사용이 가능한건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multi-user를 총괄하는 대빵도 필요하겠지요. 그놈을 우리는 'root'라고 부를 거에요.


이 root란 놈은 처음 라즈베리파이를 켜게 되면 비밀번호가 없는 상태에요. 따라서 이 root라는 놈에게 비밀번호를 한 번 설정해보겠습니다.


간단해요.

$ sudo passwd


라고 입력을 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입력까지 마치면 successfully라고 뜨게 되요.


그럼 한번 관리자로 접속을 해볼께요

$ su

라고 입력을 하게 되면 Password를 치라고 나옵니다.

위에서 설정한 password를 치게 되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pi@raspberrypi -> root@raspberrypi로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어요~~)



다시 이전 계정으로 돌아가고 싶을 경우


$ su pi


su [계정명]을 입력해주게 되면 해당 계정명을 가진 사용자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 raspi-config 명령어를 이용하여 초기 설정하기

라즈베리파이에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용량을 늘려줘야 해요.


$ sudo raspi-config


1. 해당 명령어를 치게 되면


2. 아래와 같이 이상한 창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3. 방향키로 위 아래 이동을 통해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엔터키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Advanced Options 선택


4. Expand Filesystem 선택


5. 검은색 창에서 뭐가 쫘르르 뜨고 다시 되돌아와 resized가 됬다고 뜨면 OK!


6. 방향키를 좌또는 우로 누르면 Finish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Finish 선택!


7. reboot 할거야? 라고 물어보는데 과감하게 YES 눌러줍니다.


8. 그렇게 되면 갑자기 network connection이 끊겼다고 나오는데 재부팅했으니깐 당연하지..ㅎㅎ

당황하지 않고 확인 누른 후 잠시 기다렸다가 putty로 다시 접속해줍니다.





모든 설정이 끝났어요!!! 이제 정말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개발 하고 싶은 걸 개발하면 됩니다!!!!


아 번외로 라즈베리파이 GUI 제공되는 것을 보여드릴께요.


xrdp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할 거에요.



번외 : XRDP를 이용하여 윈도우 컴퓨터로 라즈베리파이 원격 제어하기



... y ...은 설치 중간에 계속 진행할 것인지 물어보기 때문에 y를 입력하라는 의미입니다.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 y ...

$ sudo apt-get install xrdp

... y ...


1. 위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해줍니다.


<깨알 명령어 상식 보기>



2. 이제 윈도우로 되돌아가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찾아 클릭해줍니다. 


3. 라즈베리파이가 연결되어 있는 ip 주소를 입력하고 연결 클릭!


4. 과감히 예를 눌러줍니다.


5. 그렇게 되면!!! 이런 창이 뜹니다. 혹시 창이 그냥 청록색만 보이는 경우 전체 화면 해주세요 ㅎㅎ


6. username : pi

   password : raspberry

   입력해주시고 ok를 누르면!


7. 아래와 같이 GUI 환경이 뜨게 됩니다.



8. 완성~~

GUI 환경이 윈도우 환경처럼 익숙하기 때문에 더 편해 보일 수 있지만 TUI 환경보다 느립니다.....

따라서 TUI 환경에서 개발을 진행하는 것을 적극! 권장드립니다~~~



고생 많으셨어요!!! 이제 라즈베리파이 개발을 위한 1차적인 작업은 모두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만약 리눅스를 처음 사용해보신다면 리눅스 관련 명령어라던가, editor 등 처음 보는 것들 투성일텐데요.


하나하나 차근차근 해보면 어느순간 막막 개발하고 있는 여러분을 보게 될 거에요 ㅎㅎㅎ


앞으로도 라즈베리파이를 포함한 리눅스 개발에 도움이 되는 꿀팁 등을 하나하나 소개해드릴께요~


그럼 20000~~~~





















모델명 : 라즈베리파이 3 B+ (파이 데이에 맞춰서 2018년에 새로 출시된 따끈따끈한 신제품이라죠 ㅎㅎ)

개발 환경 : Windows 10



라즈베리 파이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3가지가 필요합니다. 구매하실 때 참고하세요.

  1. 라즈베리 파이 3
  2. micro SD카드(적당히 16G)
  3. 전원 공급기(일반적인 micro 5핀 충전기면 됩니다. 가정에 하나씩은 다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네요)
  4. 카드 리더기(microSD 카드를 컴퓨터와 연결해야 되는데 연결하는 부분이 없을 경우 필요합니다.)


라즈베리 파이를 설정하기에 앞서 3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준비물

  • 라즈비안 img 파일
    -> microSD카드에 올릴 OS 파일

  • SD Card Formatter
    -> 새로 산 SD 카드를 깨끗히 포맷시켜 줄 프로그램

  • Win32DiskImager
    -> microSD카드에 ISO 파일을 올려주기 위한 프로그램

혹시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고 바로 설치 파일을 다운 받고 싶으시면 위의 준비물의 이름을 각각 클릭하면 설치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먼저 라즈비안 img 파일 먼저 다운을 받아 보도록 하죠


라즈비안 img 파일 다운받기


1.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https://www.raspberrypi.org/







2. 기본적으로 라즈비안을 많이 사용하므로 라즈비안을 설치해줄 거에요. 라즈비안 클릭!



3. 라즈비안을 보면 2가지 모드가 있습니다. Desktop 모드와 Lite모드가 있는데 Desktop 모드는 GUI(Graphic UI)를 지원해주는 모드이고, Lite모드는 TUI(TextUI)만 지원을 해주는 모델입니다.

둘 중 아무거나 설치해도 상관없지만 혹시 라즈베리 파이를 처음 사용하신다면 GUI도 한 번 보는 게 좋겠죠?

하지만 라즈베리 파이는 Linux 기반이기 때문에 개발의 대부분이 Text로 이루어집니다.



4. ZIP 파일을 다운 받는 동안(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다른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다운받아보도록 하죠.


SD Card Formatter 다운받기


1. 아래 사이트로 접속한다.

https://www.sdcard.org/downloads/formatter_4/

중간쯤에 For Windows 가 있습니다!! 클릭!



2. 막 영어가 쏼라쏼라 나오는데 무시하고 맨 아래로 가면 Accept 클릭!



3. Accept를 누르면 실행 파일을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Win32DiskImager 다운 받기


1. 아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2. Download를 클릭하면 새로운 창으로 이동하게 되고 5초 후에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가 됩니다.



2개의 실행파일과 1개의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았으면 2개의 실행 파일을 각각 실행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면 SD Card Formatter먼저 실행을 시켜줍니다.



SD Card Formatter를 이용하여 SD 카드 포맷하기


※ 해당 포맷 과정은 처음 구매한 micro SD 카드의 경우 수행하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1. micro SD 카드를 컴퓨터와 연결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인식된 SD 카드의 디스크 위치가 뜨게 됩니다.

현재 제 컴퓨터에는 E 드라이브로 잡혔네요.



2. SD Card Formatter 프로그램에서 초기화 할 SD 카드를 선택해주시고, Format 버튼을 클릭하면 (예 클릭) 쉽게 포맷이 진행됩니다.


3. 포맷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창이 뜨면서 BOOT (E:) 로 초기화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이제 다음으로 깔끔해진 sd 카드에 라즈비안을 올려 볼 예정입니다.



Win32DiskImager를 이용하여 라즈비안 설치하기


이제 가장 처음에 다운로드 받았던 약 1.6기가 짜리 ZIP 파일 안쪽에 있는 라즈비안 img 파일을 이용하여 SD 카드에 OS를 올려 볼게요.


1. 클릭



2. 라즈비안 img 파일 선택



3. Write 클릭


4. Yes 클릭


5. 라즈비안 img파일을 micro SD 카드에 쓰는 중.....


6. 라즈비안 img 파일을 다 쓰게 되면 부팅할 수 있는 부분(E드라이브)와 그 이외의 공간(F 드라이브)로 하나의 microSD 카드가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됩니다. 당황하지 않고 취소를 눌러줍니다.


7. Write 성공~!


8. E 드라이브에 뭔지 모를 파일들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설치를 모두 마쳤습니다!!(짝짝짝)


다음 포스팅에서 라즈베리파이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설정을 수행해 보겠습니다.









+ Recent posts